수업 정리 (93) 썸네일형 리스트형 95일차 수업정리(Swift - 화면전환) **화면 전환 1.방법 => View를 변경 => ViewController를 변경 => ContainerViewController를 이용해서 변경 => View에 그리기 기능을 이용해서 화면을 다시 그리는 방법 2.ViewController 추가 => ViewController 클래스로부터 상속받는 클래스를 생성 => storyboard에 ViewController를 추가하고 class를 앞에서 만든 클래스로 변경하고 storyboard id를 설정 => 객체 생성: storyboard변수.instantiateViewController(withIdentifier: 스토리보드id) 호출시 UIViewController로부 터 상속받는 인스턴스의 참조 리턴 - 앞에서만든 클래스로 강제 형변환해서 사용 3... 93일차 수업정리(Swift - UIView, Gesture, 이벤트 처리) **UIView => iOS 출력 - AppDelegate 또는 SceneDelegate 의 window -> UIViewController -> UIView -> Layer를 이용해서 드로윙 => AppDelegate, UIViewController, UIView 는 UIResponder로부터 상속 - 터치 이벤트 처리 가능 - Layer는 그림을 그리기는 하지만 이벤트를 받을 수는 없습니다. => iOS의 터치 이벤트 처리를 위해서는 isUserInteractionEnabled 프로퍼티가 true 여야 합니다. - UIImageView 나 UILabel은 기본적으로는 터치 이벤트를 처리할 수 없음 => iOS에서는 UIView를 화면 출력의 최소 단위로 간주 1. 뷰를 이용한 작업 => 생성과 초기화.. 92일차 수업정리(swift - SDK) **iOS SDK => SDK(Software Development Kit) - API라고도 하는데 어떤 플랫폼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한 함수, 클래스의 집합 => iOS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클래스의 집합 => Project(작업단위 - 하나의 디렉토리) -> Target(Application) - 실제 애플리케이션을 개발시 1개의 프로젝트에 1개의 Target을 가지고 작업 - 포트폴리오 작성시는 1개의 프로젝트에 여러개의 Target을 배치하는 형태로 작성 1. Project 생성 => Xcode 에서 [File] - [New] - [Project]를 선택 1) 플랫폼을 선택 - iOS: iPhone, iPad, iPod 애플리케이션 개발 - watchOS: 시계 - tvOS: TV - m.. 91일차 수업정리(Swift - 생성자 & 소멸자, 상속, 자료구조) **Objective-C의 selector => Swift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이고 함수가 일급 객체라서 함수의 참조를 변수에 바로 대입, 리턴 가능 => Objective-C는 함수가 일급 객체가 아니므로 함수단위 대입이나 리턴 불가 - 함수단위로 작업할 수 있도록 Selector라는 개념 도입 - 애플은 메소드나 함수를 Selector라고 표현 => iOS프로그래밍에서 매개변수 중 Selector는 함수나 메소드를 요청하는 것 **생성자와 소멸자 => Constructor :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호출하는 메소드 - 인스턴스가 생성될때 가장 먼저 호출되는 메소드 - 생성자가 하는 일은 allocation(메모리 할당)과 initialize(초기화 작업) - Objective-C는 생성자 호출시 a.. 90일차 수업 정리(Swift - Function, 구조체, Class, Method) **Function(함수) =>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독립적으로 실행할수 있는 모듈 => 실제 작업의 처리 단위 => Function이 클래스 안에 작성되어 클래스나 인스턴스를 이용해서 호출되면 메소드 => 호출하는 대상(Receiver)이 있으면 메소드, 없으면 함수라고 함 => 함수의 원형 : 함수의 모양(어떻게 호출하고 어떤 결과를 남겨주는지 확인) - 함수명(매개변수) -> 리턴타입 - 다른 언어에서는 리턴타입 함수명(매개변수)의 형태로 작성 - 자신이 만든 메소드는 자신이 호출하므로 오른쪽의 패키지나 프로젝트 창을 보면 모양이 보임 - SDK나 Framework가 제공하는 함수, 메소드의 경우 Document에서 원형을 찾아 개발자가 직접 호출 - SDK학습시 이 메소드가 재사용 될것 같으면 D.. Swift 에러 정리 swift 1. Cannot assign to value: 'temp' is a 'let' constant => let으로 만든 변수에 값을 변경시키려할때 발생하는 오류 => let으로 만든 변수는 값을 변경시킬 수 없고, var로 만든 변수는 값의 변경이 가능 2. Binary operator '+' cannot be applied to operands of type 'Int' and 'Int32' => swift는 자료형이 다른 연산을 허가하지 않음 => 같은 정수형이라도 Int와 Int32의 연산은 불가 => as를 사용하는 등의 형변환작업을 통해 변환 후, 연산 3. error: Execution was interrupted, reason: EXC_BAD_INSTRUCTION (code=EXC_I.. 89일차 수업정리(Swift - 자료형, 변수, 제어문, 반복문, 함수) **문자 관련 자료형 1. 자료형 : 0개 이상의 문자의 모임 => 문자를 순서대로 저장하고 마지막에 null을 저장 => 한줄의 문자열 상수는 " "안에 작성, 여러 줄 문자열 상수를 만들고자 할 경우 """ 문자열 """ => 문자열 템플릿(보간) : 문자열 안에 다른 변수의 데이터를 문자열로 삽입 - "문자열 상수 \(변수 및 상수) .." - 변수나 상수가 저장하고 있는 내용을 문자열로 치환하여 삽입 - 다른 언어에서는 String 클래스의 format 이라는 메소드가 이 역할을 수행 => String 클래스에 한해서는 아직도 Objective-C의 클래스인 NSString을 조금 더 많이 활용 2. 문자 : 1개의 문자 - Character => Swift에서는 변수를 만들 때 자료형을 Char.. 88일차 수업정리(iOS - 자료형) **자바 응용 프로그램(PC, 디바이스에 Embedding 되는 프로그램) 만들기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 args) 메소드를 가진 클래스가 존재해야 함 1. eclipse 에서는 마우스 오른쪽을 클릭해서 [Export] - [Java] - [Runnable Jar files]로 내보냄 =>윈도우 용 프로그램은 유저가 실행, 종료하므로 문제없지만, 콘솔 프로그램은 터미널이 바로 종료될 수 있으므로 입력받는 문장 추가 2. 명령어로 실행 => java -jar 파일경로 3. WindowJava.jar 파일을 실행하는 쉘 프로그램을 작성 1) 터미널에 touch WindowJava.sh : 쉘 파일 생성 2) 터미널에 vi WindowJava.sh : 파일을 편집할 .. 이전 1 2 3 4 ··· 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