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61) 썸네일형 리스트형 18일차 수업 정리(IO - Input, Output) **Input & Output(IO) => MainMemory와 주변 장치(파일, 키보드와 같은 입출력 장치, 네트워크 등)들 간의 통신 1. java.io.File 클래스 => 파일에 대한 정보를 리턴해주는 클래스 1) 경로(위치 설정) => 절대경로 : root로 부터의 경로, 불변의 경로 -> 윈도우즈 - c:\디렉토리명...\파일명 -> 그외의 운영체제 - /디렉토리명.../파일명 -> 웹 - http://요청경로 -> 윈도우즈만 디렉토리 구분 기호가 \이고, 나머지 경우는 전부 / 윈도우즈 경로 표시시 \\로 표현해야 함 => 상대경로 : 현재 위치로 부터의 경로, 현재 위치에 따라 변함 -> ./ : 현재 디렉토리 -> ../ : 상위 디렉토리 (현재 디렉토리는 생략해도 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17일차 수업 정리(Thread) Tip! 스마트폰의 특징 - 업그레이드가 불가(기기를 바꿀때까지) - 언제 네트워크가 끊어질지 알수없음 Thread 생성 - 상호 배제 => Lock으로 해결 - 생산자와 소비자 - Dead Lock - Semaphore ex) 은행 번호표 **Thread => 프로세스 내에 만드는 것으로 작업 도중 다른 작업으로 제어권을 넘길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단위 => 단독으로는 실행할 수 없고, 프로세스(Method)내에서 생성하여 실행 => 일반 메소드 호출은 한 메소드의 수행이 완료될때까지 타 메소드의 수행을 할 수 없는 구조 => 스레드는 하나의 작업이 진행중인 동안에도 제어권을 다른 스레드로 옮겨서 처리가 가능 => 스레드를 만드는 방식은 대다수의 프로그래밍 언어가 유사하고, 해결해야할 문제도 유사함 =>.. 16일차 수업정리(Set, Map) ** Set => 데이터를 중복없이 저장하는 자료구조 => 중복된 데이터를 삽입하면 삽입하지 않음 =>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할 수 있도록 해싱을 이용해서 저장 => 자바에서 Set은 인터페이스이고, HashSet, LinkedHashSet, TreeSet 클래스로 구현 - HashSet : 데이터의 저장 순서를 알수 없음 - LinkedHashSet : 데이터의 저장 순서를 기억 - TreeSet : 데이터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해서 저장 => 데이터를 삽입시, add메소드를 사용. 이 메소드가 boolean값을 리턴해서 삽입 성공시 true, 실패시 false를 리턴 ** Map => 데이터를 Key와 Value 쌍으로 저장하는 자료구조 => Key와 Value 모두 모든 자료형이 가능하지만 Key는 일반.. 15일차 수업 정리(ArrayList, LinkedList, 자료구조) **List => 자료구조에서는 배열도 List로 분류 => java에서는 배열은 다른 종류로 구분 1. 종류 1) Array(배열 - Dense List) => 동일한 자료형의 연속적인 모임 => 크기가 고정 - 크기 변경 불가 => 장점 : 메모리 낭비가 없음 => 단점 : 데이터 삽입, 삭제시 복사 작업이 필요 2) Vector(ArrayList) => 동일한 자료형의 연속적인 모임 => 크기가 가변적 - 변경이 가능(여분의 공간을 미리 확보) => 장점 : 데이터 접근 속도가 LinkedList보다는 빠름 => 단점 : 메모리 낭비가 발생할 수 있음 중간에 데이터 삽입, 삭제시는 느림 =>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와서 사용할 때 많이 사용 3) LinkedList => 동일한 자료형의 연속적.. 휘둘리지 않는 힘(김무곤) 저는 개인적으로 셰익스피어의 작품중 희극 보다는 비극을 좋아합니다. 희극보다는 비극이 인물의 심적 묘사가 극적으로 느껴지기 때문입니다. 셰익스피어의 4대비극을 보면 작품속의 주인공은 외적으로 매우 훌륭하게 보이는 사람입니다. 그들은 당대의 뛰어난 능력을 장군이고, 왕이며, 지식인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작품속에서 그들이 자신의 욕망, 아집, 열등감 속에서 몸부림치는 것을 보게됩니다. 어릴 적에는 그것이 그들의 어리석음 때문인것 처럼 보였지만, 지금은 그들의 마음속에 잠재된 결여가 어떠한 기회를 통해 밖에 드러날 때, 충분히 훌륭하고, 강하게만 보였던 그들이 얼마나 처절하게 망가지는 지를 보며 애처로움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 책은 햄릿, 리어왕, 맥베스, 오셀로를 통해, 그들의 삶이 비극이 된 원인을 바라보.. 14일차 수업 정리(String, Encoding, Sort & Search ) **java.lang.String 1. static String format(String format, Object data...) => 서식에 맞추어 데이터를 문자열로 만들어 리턴해주는 메소드 => System.out.printf와 사용법이 동일(printf : 화면에 출력, format : 문자열을 만들어서 리턴 해주는 메소드) => GUI(graphic User Interface - 화면이 있는 인터페이스 : Mac OS, Linux, Windows, Android, iOS등) - 프로그래밍의 화면에 보여지는 클래스들은 문자열이나 이미지만 출력할 수 있음 - 문자열이 아닌 데이터들은 문자열로 변환을 해야만 출력이 가능 => 문자열이 아닌 데이터 1개를 숫자로 변환 : toString메소드 => 문자.. 13일차 수업정리(java.lang 패키지) 희소행렬 - 0이 많은 행렬(압축하는데 사용) ** java.lang 패키지 1. Object - 최상위 클래스 2. Object - Object클래스의 Utility 클래스 => Object 클래스에 없는 데 자주 사용할 만한 기능을 메소드로 추가한 클래스 3. Wrapper Class => 기본 자료형의 데이터를 참조형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만든 클래스 => C, Java 문제점 : 기본 자료형 Value형, 여러 데이터와 그 참조를 저장 가능한 Reference형을 만들어 2가지를 구분 - 이유 : 실행의 효율성(Value형 - 빠르게 접근하여 사용, Reference형 : 메모리 접근이 한번 더 필요) => 최근의 프로그래밍언어들은 모든 데이터를 참조형으로 만들어서 사용 => Java에서 기본형의 .. Selection Sort(선택정렬) 사실 java에서는 sort가 제공되기 때문에 실제로 Selection sort를 사용할지는 알수 없지만 Selection, Bubble, quick Sort 는 확실하게 이해하고 코딩하고 싶어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목표 1) Selection Sort가 어떤식으로 순서를 바꾸는지를 이해 2) 해당 정렬의 방식에 맞는 Source Code 구현 3) 역순(오름차순, 내림차순)으로 나눠서 구현 1. Selection Sort란? - 각 데이터를 첫번째 데이터부터 마지막 데이터까지 전부 비교하여 정렬하는 것 ex) 17 20 30 15 29 1Pass 15 20 30 17 29 2Pass 15 17 30 20 29 3Pass 15 17 20 30 29 4Pass 15 17 20 29 30 2. .. 이전 1 ··· 15 16 17 18 19 20 21 다음 목록 더보기